앱에서 열기

#제주한림 #금악무짠지냉면 #물냉면 * 한줄평 : 마을 공동체가 만든 가장 제주스러운 냉면 • 제주산 메밀로 만든 냉면 식당의 약진 • 제주식 음식에 대한 정의 • 백령도 냉면과 진주냉면 등의 요소가 엿보이는 금악냉면 1. 제주의 국수 문화는 밀가루로 만든 중면을 활용한 단연코 고기국수라는 것에 누구도 이견을 제시하지 않을텐데.. 최근 들어 <제주산 메밀>을 주재료로 한 식당이 속속 늘어나며 과거 제주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냉면집들이 제법 눈에 들어온다. 2. 서관면옥과 한우다이닝 울릉을 탄생시킨 김인복 쉐프의 세련된 터치가 가미된 <한라산아래첫마을>, 백종원 선생님의 푸드인문다큐 냉면랩소디를 통해 새로 만들어진 <금악무짠지냉면> 등을 필두로 한경면의 <제주돔베막국수>와 안덕면의 <화순평양면옥> 등 수준 높은 메밀냉면 식당의 약진이 대단하다. 3. 유독 향토음식에 대한 애착이 큰 내 입장에서 한때 고민했었던 화두가 너도 나도 <제주스타일>로 재해석했다는 음식의 무분별한 개념의 확장을 어디까지 인정해야할까라는 것리었는데 마을공동체가 합심하여 만든 금악무짠지냉면을 경험하고 그 답을 찾은 듯 하다. 4. <제주스타일>이란 단어에는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부분이 상당부분 포함되어 있어 제주의 오름과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거나 한라산이나 현무암을 모티브로 형상화한 음식도 이에 포함시켜 광의적으로 그간 사용해온 것이 사실이다. 5. 그런데 식탁 위의 반상에 <제주 감성 한두 스푼> 들어갔다고 이걸 과연 제주식이라 봐야 할지, 혹은 <제주의 로컬 푸드>를 식재료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6. 사실상 제주도라는 섬지역 특성상 대중 식당 식재료 수급이 조달이 용이하고 별도의 유통 비용이 크게 들어가지 않아 원가가 유리한 로칼푸드를 대부분 사용한다는 점에서 난 <제주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괸당 문화로 대표되는 <제주도 특유의 공동체 정신>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7. 서두에 언급했듯 제주는 본디 메밀 냉면 문화가 존재하지 않았던 지역인데다 금악무짠지냉면이 소재한 한림읍 금악리는 축사가 많아 분뇨 냄새로 인해 개발이 아예 어려웠던 동네이다. 8. 아마도 그랬기에 관광객들의 유입을 위해 개발되지 않은 금악리를 선택했는지는 모르지만, 그간 균형 발전에 소외되어 있던 이 마을 사람들이 합심하여 냉면을 만들어낸 것은 확실하다. 9. 냉면랩소디 촬영을 위해 전국의 냉면을 섭렵했던 백종원 선생님은 무짠지를 고명으로 얹어먹는 백령도 냉면을 베이스로 하여 진주냉면의 화려함까지 갖춘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하이브리드 냉면을 만들어낸다. 10. 메밀면 위에 면을 쌈싸먹을 수 있게 넓게 그리고 얇게 슬라이스한 돼지 전지살, 금악리 농가가 재배한 양배추 절임, 빨간 양념을 한 무짠지에 하얀색 삶은 계란, 노란색 지단에 초록색 쪽파를 더해 화려한 외형과 내실있는 맛의 조화를 만들어냈다. 11. 통상 냉면 식당의 사이드는 편육이나 부침개, 만두이건만, 이 집의 사이드는 기막히게도 상기 언급한 사이드 세 가지 메뉴의 교집합적 성격이 다분한 <완자>이다. 12. 냉면이란 음식이 교조주의적 성격이 워낙 강하다보니 요리사도 아닌 사업가, 백종원 선생님의 레서피로 탄생한 <금악무짠지냉면>이 매니아들에게 어떤 평가를 받을지 모르겠으나 음식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대중과 상호 작용을 하며 발전한다는 점에서 난 이 냉면을 <제주식>이라 부르는데 한치의 망설임도 갖고 있지 아니하다. #제주한림맛집 #제주냉면맛집 #냉면랩소디 #금악무짠지냉면 www.instagram.com/moya95

금악 무짠지 냉면

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로1길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