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의 부위별, 근육별 맛이 궁금하다면. 정육식당이라 하더라도 원하는 부위를 골라 바로 먹기 쉽지 않다. 일정한 정형방법에 따라, 어느 정도 표준화 되어 미리 잘라 놓은 걸 판매하기 때문이다. 두께 또한 고객이 원하는 정도가 아니라 일률적으로, 대부분 원하는 것보다 얇게 잘라 판매된다. 이 식당에서는 고객의 요구에 customize 할 수 있다. 원하는 부위를 골라 원하는 두께로. 등심하면 대개 알등심과 새우살, 등심덧... 더보기
스테이크 하우스 정육식당, 본관보다 더 넓게 별관을 열다. 큼직하고 실한, 신선한 티본이 시그니쳐. 친구들 제자들만 이 집에 데리고 다닌 죄책감을 더 이상 견딜 수 없어 온식구 다 데리고 family dinner. 더넓은 별관 오픈했는데 오랜만에 왔다고 한대표의 푸념도 받고. 육사시미를 가늘게 채썰어 채썬배와 함께 내고 그 동안 티본을 고른다. 안심이 크게 붙은 토막을 골랐다. 안심이 샤토브리앙 버금가게 큰 부위. 최고의... 더보기
160일 숙성 티본과 60일 숙성 돼지 차돌. 소우리의 포로가 되다 점점 오래 숙성한 티본 만날 날을 기다리는 건 설레임과 즐거움. 소풍가는 날 손꼽아 기다렸던 마음과 같다. 워밍업으로 초벌한 일반 티본을 안심과 등심 순으로 맛본다. 여긴 와인이지. 같이 간 친구들 중에는 숙성보다 이 티본이 더 맛있다고 하는 사람도 많다. 투뿔한우 티본의 정수니까. 다음엔 한사장이 160일 숙성 티본을 바로 작업해 식탁으로 가져다 보여 ... 더보기
건조숙성의 끝과 신선함의 끝 가장 오래된 건조 숙성 120일의 한우 티본. 넉 달의 기다림. 시간과 기다림이 만들어 낸 풍미를 맛보다. 촉촉한 표면으로 나타난 난숙의 표시와 그 증거. 안심 먼저 구워 한 점씩. 일행 여섯명의 표정들이 압권이다. 완전히 다른 쇠고기 맛이네요. 감탄의 연발. 두 점 이상 먹을 수 없는게 다만 아쉬운 점이다. 120일 건조숙성의 등심은 견과류의 향이 나며 진하다. 육즙은 없지만 혀 위에서 부드... 더보기
소고기는 확실한 행복 드라이에이징 90일 티본의 풍미는 에이징으로 인한 중량의 감소를 상쇄하고도 남았다. 에이징 후의 안심은 참 볼품없이 쪼그라 드는데 그래도 두툼한 부위를 잘 빼 주었다. 참으로 귀한 부위니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약간 노란색을 띄는 지방. 촉촉하게 숙성된 건조숙성 안심. 아마 이정도 크기라면 포터하우스 부위일 것이다. 드라이에이징 안심은 쇠고기 중 가장 가격이 높은 부분이다. 넷이서 두세점씩. 하나는... 더보기
티본스테이크를 굽는 푸줏간. — 정육점의 고유어인 푸줏간은 본래 짐승의 도축, 가공 뿐 아니라 직접 요리를 해서 파는 음식점도 겸했다. 즉, 현재의 정육식당 형태가 푸줏간의 원형에 더 가깝다고도 할 수 있겠다. 가락동에는 굉장히 힙한 푸줏간이 하나있다. 억지로 만든 힙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묻어나는 힙함. 푸줏간과 상반되는 이미지의 젊은 직원들, 가게 한켠의 드라이에이징 공간, 티본이나 토마호크 같은 의외의 부위와 톡톡 튀는 메뉴... 더보기